찐 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찐 주는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베트남 후 레 왕조의 실질적인 통치 가문이었다. 찐 가문은 레 왕조의 권력이 약해진 틈을 타 권력을 장악했으며, 찐끼엠을 시작으로 '주(主)'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베트남 북부를 통치했다. 찐 가문은 레-막 전쟁에서 승리하고 응우옌 가문과의 찐-응우옌 분쟁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지만, 권력 독점과 부정부패, 농민 수탈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18세기 후반 떠이선 왕조의 침공으로 멸망했으며, 찐 왕조의 멸망은 베트남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주 - 다이묘
다이묘는 일본 역사에서 유력 무사를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에 따라 슈고 다이묘, 센고쿠 다이묘로 변화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막부 통제 하에 번주로서 막번 체제를 구성하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사라졌다. - 영주 - 영주 (작위)
영주는 고대 영어에서 유래된 작위로, 봉건 사회에서는 토지 소유와 주민 지배를,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법적 작위로 인정되기도 한다. - 찐 주 - 찐장
찐장은 1711년에 태어나 1761년에 사망한 베트남 찐 주의 군주이며, 레조를 폐위하고 레 순종을 옹립한 후 대원수총국정, 상사, 태부, 정왕으로 진봉되었고, 농민들의 어려움과 자연재해 속에서 통치하다 동생에게 전위하고 태상왕으로 물러났다. - 찐 주 - 찐똥
찐똥은 후 레 왕조 찐 주의 제12대 군주로, 삼부군의 반란을 틈타 권력을 장악했으나 정국 혼란과 떠이선 왕조의 침공에 패배하여 자결했다. - 역직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역직 - 의장
의장은 입법 기관, 회의, 단체 등에서 회의를 주재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국회, 지방 의회, 법인 등 다양한 조직에서 사용된다.
찐 주 |
---|
2. 역사
찐 왕조는 정조(鄭朝), 찐 주(鄭主), 정씨 왕국(鄭氏王國) 등으로도 불렸다. 당시 베트남에서는 찐 왕조를 북하(北河) 또는 북하국(北河國)이라 불렀고, 중국에서는 교지국(交趾國), 일본에서는 동경국(東京國), 유럽에서는 통킹 왕국(Tonkin Kingdom)으로 불렀다.
찐 씨와 응우옌 씨의 동맹 정권이 막 왕조와 다투었던 시대를 남북조 시대라 부르고, 막 왕조가 멸망한 이후 찐 씨와 응우옌 씨가 서로 다툰 분열 시대를 찐-응우옌 분쟁(Trịnh-Nguyễn phân tranh)이라고 부른다.
베트남의 역사 |
---|
반랑국 |
어우락 |
남월 |
제1차 북속 시대 (전한 지배) |
(쯩 자매) |
제2차 북속 시대 (후한, 육조 지배) |
전리조 |
제3차 북속 시대 (수, 당, 남한 지배) |
오조 |
정조 |
전 레조 |
리조 |
진조 |
호조 |
제4차 북속 시대 (명 지배) |
후진조 |
후레조 전기 |
막조 |
후레조 후기 (남북조) |
막조 (남북조) |
후레조 후기 |
(응우옌씨 정권) |
(정씨 정권) |
서산조 |
완조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베트남 제국 |
코친차이나 공화국 |
베트남 민주 공화국 |
베트남국 |
베트남 공화국 |
남베트남 공화국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 변경 사항
1. 테이블의 형식을 수정함.
2. 테이블에서 중복되는 내용들을 제거함.
3. 테이블에서 템플릿을 제거함.
4. 오탈자를 수정함.
2. 1. 배경 및 기원
찐 가문의 시조는 레러이의 친구이자 조언자였던 찐카(Trịnh Khả)이다. 찐 왕조의 실질적인 창시자는 찐끼엠(Trịnh Kiểm)이다. 그는 가난한 환경에서 성장했으나, 레 왕조 충신 응우옌낌(Nguyễn Kim)의 군대에 합류하여 능력을 인정받았다. 응우옌낌의 사위가 된 찐끼엠은 1539년에 장군 지위에 올랐고, 1545년 응우옌낌 사후 레 왕조의 군대와 조정을 장악했다.2. 2. 레-막 전쟁과 남북조 시대
16세기 초, 레 왕조의 권위가 약화되자 권신 막당중(Mạc Đăng Dung)이 세력을 장악하고 막 왕조를 세웠다.[16][17] 응우옌 김(Nguyễn Kim)과 찐끼엠(Trịnh Kiểm)은 레 왕조 부흥 운동을 일으켜 막 왕조에 대항했다. 이 시기를 남북조 시대라고 부른다. 1533년, 레 찌우 통(Lê Chiêu Tông) 황제의 아들인 레 닌(Lê Ninh) 왕자가 란쌍 왕국(Lan Xang)에서 레 장 통(Lê Trang Tông) 황제로 즉위하며 레 왕조가 부흥했다. 1592년, 찐뚱(Trịnh Tùng)이 막 왕조의 수도 탕롱(Thăng Long)을 탈환하며 레 왕조가 북부 지역을 회복했다.[16][17] 하지만 막 왕조는 까오방(Cao Bằng)]으로 근거지를 옮겨2. 3. 찐-응우옌 분쟁
응우옌낌(Nguyễn Kim) 사후, 그의 아들 응우옌호앙(Nguyễn Hoàng)은 남부 지역(투언호아, 꽝남)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찐 가문과 응우옌 가문은 레 왕조를 명목상으로 옹립했지만, 실질적인 권력을 두고 대립했다. 이 시기를 찐-응우옌 분쟁(Trịnh Nguyễn phân tranh)이라고 부른다.1620년 레 왕조의 제18대 황제 신종(神宗)이 즉위하자, 응우옌호앙의 아들 응우옌푹응우옌(Nguyễn Phúc Nguyên)은 동도(東都, 옛날의 東京)에 대한 공납을 거부했다. 1623년에 찐뚱(Trịnh Tùng)이 막내아들 찐쑤언(Trịnh Xuân)의 반란으로 사망한 후, 뒤를 이은 찐짱(Trịnh Tráng)과 응우옌푹응우옌 사이에서 5년에 걸쳐 정치적 협상이 벌어졌지만, 1627년에 결국 전쟁이 발발하여 1673년에 평화가 맺어질 때까지 긴 전란 시대가 이어졌다.[16][17]
응우옌 가문은 포르투갈 등 유럽 세력과의 교류를 통해 군사력을 강화했고, 찐 가문은 네덜란드와 교류했다.
2. 4. 찐 왕조의 통치와 개혁
레 왕조의 황제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자신들은 '쭈어'(主, 주)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실질적인 통치자가 된 찐 가문은 여러 개혁을 단행했다. 찐깐과 찐끄엉은 많은 개혁을 단행했지만, 이러한 개혁은 정부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고 백성들에게 더 큰 부담을 안겨 주어 정부에 대한 반감을 증폭시켰다.[4][5] 찐장의 낭비적이고 무능한 통치 기간 동안 농민 반란이 더욱 빈번해졌다. 주요 문제는 경작할 땅이 부족했지만, 찐장은 자신의 행동으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후계자 찐조아인의 통치는 농민 반란을 진압하고 시골을 테러했던 무장 갱단을 소탕하는 데 몰두했다.2. 5. 서산당의 난과 찐 왕조의 멸망
18세기 후반, 남부에서 응우옌냑(Nguyễn Nhạc)의 주도로 떠이선 왕조의 난이 일어났다. 찐삼(Trịnh Sâm)은 이 난을 이용하여 남부의 응우옌 가문을 공격했으나, 서산당은 오히려 세력을 확장하여 응우옌 가문을 멸망시켰다.[8] 1786년, 서산당의 응우옌후에(Nguyễn Huệ)가 북쪽으로 진격하여 찐 왕조를 공격했다. 찐카이(Trịnh Khải)는 패배 후 농민들에게 잡혀 자결했고,[8] 찐봉(Trịnh Bồng)이 잠시 권력을 잡았으나 곧 몰락했다. 레 민제(Lê Mẫn Đế)는 청나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청나라 군대가 개입했으나 응우옌후에에게 옥회동다 전투(玉 hồi-銅多戰役, Battle of Ngọc Hồi-Đống Đa)에서 격퇴당했다.[8] 이로써 찐 왕조는 240여 년 만에 멸망했다.3. 대외 관계
찐 주는 당시 주변국에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베트남에서는 북하(北河) 혹은 북하국(北河國)으로, 중국에서는 교지국(交趾國)으로, 일본에서는 동경국(東京國)으로, 유럽에서는 통킹 왕국으로 불렸다.[14] 찐 씨와 응우옌 씨의 동맹 정권이 막 왕조와 다투던 시기를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라 부르며, 막 왕조 멸망 후 찐 씨와 응우옌 씨가 대립한 시기를 찐-응우옌 분쟁(鄭阮紛爭)이라 부른다.
3. 1. 중국과의 관계
찐 왕조는 명나라와 청나라에 대해 매우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 응우옌 씨가 명나라 유신들에게 우호적이었고 많은 이민자들을 받아들였던 것과는 대조적이었다.[14] 찐 왕조는 명나라와 청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공식적인 승인을 받는 등 전통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청나라는 레 왕조를 지원한다는 명분으로 두 차례(1537년, 1788년) 베트남에 개입했지만, 모두 실패했다.3. 2. 유럽과의 관계
17세기 초,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쩐(Trịnh)씨가 지배하는 베트남에 도착하여, 1615년경 하노이 궁정에 설립된 선교부에서 활동했다.[9] 그는 수천 명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고, 유럽 알파벳을 수정하여 베트남어 로마자 표기법(꾸옥응으)을 확립했으며, 여러 교회를 건설했다. 그러나 1630년 쩐(Trịnh) 영주 쩐장(Trịnh Tráng)은 드 로드를 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여 추방했다. 이후 찐(Trịnh) 영주들은 베트남에서 기독교를 주기적으로 탄압했고,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응우옌(Nguyễn)씨가 포르투갈 대포를 사용하여 성벽을 성공적으로 방어하자, 찐(Trịnh)씨는 네덜란드와 접촉하여 고급 대포를 수입했다. 네덜란드와 독일은 하노이에 무역 거점을 설립하기도 했다. 그러나 1673년 응우옌(Nguyễn)씨와의 전쟁이 끝난 후 유럽 무기 수요는 급격히 감소했고, 1700년까지 네덜란드와 영국의 무역 거점은 문을 닫았다.
4. 역대 군주 목록
찐 주(鄭主)의 통치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찐 주의 군주들은 '쭈어'(主, 주)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레 왕조 황제는 명목상의 군주였다.[1]
이름 | 사진 | 생애 | 재위 기간 | 황제 | 최고 칭호 | 묘호 | 시호 |
---|---|---|---|---|---|
정검 (Trịnh Kiểm) | |||||
1503년–1570년 | 1545년–1570년 | 장종 | 태국공(太國公) | 세조(世祖) | 명강인지무정웅략태왕(明康仁智武貞雄略太王) |
정훼 (Trịnh Cối) | |||||
? - 1584년 | 1570년 (6개월) | 영종 | 준덕후(俊德侯) | ||
정송 (Trịnh Tùng) | |||||
1550년–1623년 | 1570년–1623년 | 영종 | 평안왕(平安王) | 성조(成祖) | 공화관정철왕(恭和寬正哲王) |
정탁 (Trịnh Tráng) | |||||
1577년–1657년 | 1623년–1657년 | 진종 | 청왕(清王) | 문조(文祖) | 의왕(誼王) |
정작 (Trịnh Tạc) | |||||
1606년–1682년 | 1657년–1682년 | 신종 | 서왕(西王) | 홍조(弘祖) | 양왕(陽王) |
정근 (Trịnh Căn) | |||||
1633년–1709년 | 1682년–1709년 | 희종 | 정왕(定王) | 초조(昭祖) | 강왕(康王) |
정강 (Trịnh Cương) | |||||
1686년–1729년 | 1709년–1729년 | 유종 | 안왕(安王) | 희조(禧祖) | 인왕(仁王) |
정강 (Trịnh Giang) | |||||
1711년–1762년 | 1729년–1740년 | 예종 | 위왕(威王) | 유조(裕祖) | 순왕(順王) |
정영 (Trịnh Doanh) | |||||
1720년–1767년 | 1740년–1767년 | 의종 | 명왕(明王) | 의조(毅祖) | 은왕(恩王) |
정삼 (Trịnh Sâm) | |||||
1739년–1782년 | 1767년–1782년 | 현종 | 정왕(靖王) | 성조(聖祖) | 성왕(盛王) |
정간 (Trịnh Cán) | |||||
1777년–1782년 | 1782년 (1개월, 당씨혜 섭정) | 현종 | 전도왕(奠都王) | ||
정종 (Trịnh Khải/Trịnh Tông) | |||||
1763년–1786년 | 1782년–1786년 | 현종 | 단남왕(端南王) | 령왕(靈王) | |
정봉 (Trịnh Bồng) | |||||
1749년–1791년 | 1786년–1787년 | 조통 | 연도왕(晏都王) |
- 정검(鄭檢) (1503년-1570년, 집정: 1545년–1570년): 초대 정주. 장종, 중종, 영종 치세에 집정하였다.[1]
- 정훼 (1523년-1584년, 집정: 1570년): 정검의 장자. 막조에 패배하고, 동생 정송에게 자리를 빼앗겼다.[1]
- 정송(鄭松) (1550년−1623년, 집정: 1570년–1623년): 3대 황제(세종, 경종, 신종) 치세에 집정하였다.[1]
- 정탁 (1577년–1657년, 집정: 1623년–1657년): 2대 황제(진종, 신종※중조(重祚)) 치세에 집정하였다.[1]
- 정작(鄭柞) (1606년-1682년, 집정: 1657년–1682년): 3대 황제(현종, 가종, 희종) 치세에 집정하였다.[1]
- 정근(鄭根) (1633년-1709년, 집정: 1682년–1709년): 정남왕에 봉해졌다.[1]
- 정강(鄭棡) (1686년-1730년, 집정: 1709년–1730년): 안도왕에 봉해졌다. 2대 황제(유종, 후폐제) 치세에 집정하였다.[1]
- 정강 (1711년-1762년, 집정: 1730년–1740년): 위남왕에 봉해졌다. 2대 황제(순종, 의종) 치세에 집정하였다.[1]
- 정영(鄭楹) (1720년-1767년, 집정: 1740년–1767년): 명도왕에 봉해졌다. 현종 치세에 집정하였다.[1]
- 정삼(鄭森) (1739년-1782년, 집정: 1767년–1782년): 경도왕에 봉해졌다. 현종 치세에 집정하였다.[1]
- 정간 (1777년-1782년, 가독: 1782년): 전도왕에 봉해졌다. 후에 이복형 정개에게 자리를 빼앗기고, 공국공이 되었다.[1]
- 정개 (1763년-1786년, 집정: 1782년–1786년): 단남왕에 봉해졌다.[1]
- 정봉 (1749년-1791년, 집정: 1786년–1787년): 안도왕에 봉해졌다.[1]
5. 평가
찐 주(정씨 정권)는 레 왕조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황제를 마음대로 임명하고 교체하며 권력을 독점했다.[10] 캄보디아, 시암과 전쟁을 벌였던 응우옌 주(광남국)와 달리, 이웃 국가들과 비교적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다. 1694년 라오스 전쟁에 개입하여 라오스 여러 세력과 시암 군대가 참여하는 다각적인 전쟁으로 번졌고, 10년 후 베트남과 시암 모두에 조공을 바치는 세 개의 라오 왕국과 불안정한 평화를 이루었다.
찐 껀과 찐 끄엉은 여러 개혁을 단행했지만, 이는 정부를 강화하고 백성들에게 더 큰 부담을 안겨주어 정부에 대한 반감을 증폭시켰다. 찐 장의 낭비적이고 무능한 통치 기간 동안 농민 반란이 더욱 빈번해졌고, 경작지 부족 문제를 악화시켰다. 후계자 찐 조아인은 농민 반란을 진압하고 시골을 테러했던 무장 갱단을 소탕하는 데 힘썼다.
찐 주는 베트남 북부 홍강 삼각주 지역에서 환관들을 군 지도자로 광범위하게 고용했다. 군대와 민간 관료제에서 환관들을 사용했고, 많은 불교 사찰들은 환관들이 기증한 돈과 토지를 소유하며 부와 영향력을 얻었다. 현장 군 부대, 비밀 경찰, 관세, 재정, 토지 증서 및 군사 등록부, 슨남(Son Nam) 지방(Binh phien)의 세금 징수뿐만 아니라 Thanh Hóa의 군사 총독직도 환관들에게 위임되었다. 감독 서비스, 군대, 공무원 및 궁정 모두 환관들이 임명되어 일했고, 그들은 찐 주의 충실한 추종자였으며, 민간 및 군 관리들의 권력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6]
찐 주는 2세기에 걸쳐 발전시킨 이중 통치 형태는 내부 및 외부 장애물에 대한 창의적인 대응이었지만, 통치 시스템에 내재된 모순을 해결할 힘과 도덕적 권위는 부족했다.[10] 18세기 후반, 찐 주는 거의 모든 인기를 잃었고, 떠이선이 권력을 잡은 후 북부에서는 찐 주를 지지하는 세력이 남아 있지 않았다.[11]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Vietnam: From Hong Bang to Tự Đức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
논문
Fraught Collaboration: Diplomacy, Intermediaries, and Governance at the China-Vietnam Border,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3]
학술지
Das annamitische Theater
[4]
웹사이트
Letter from the King of Tonkin concerning the termination of the trading relation with the VOC, 10 February 1700
https://sejarah-nusa[...]
[5]
간행물
Letter from the King of Tonkin concerning the termination of the trading relation with the VOC, 10 February 1700
Arsip Nasional Republik Indonesia
[6]
학술지
THE TRINH RULING FAMILY IN VIETNAM IN THE 16TH – 18TH CENTURIES
https://www.sav.sk/j[...]
Centre for Vietnamese Studies, Institute of Asia and Africa, Moscow University, Russia
[7]
서적
A History of the Vietname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학술지
Phe chống đảng Tây Sơn ở Bắc với tập "Lữ Trung Ngâm" (The anti-Tây Sơn factions in the north and the "Lữ Trung Ngâm" collection)
[9]
서적
Tigers in the Rice
[10]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Scribner
[11]
서적
Vietnam, Trials and Tribulations of a Nation
[12]
서적
(정보 부족)
[13]
서적
(정보 부족)
[14]
백과사전
広南国
2020-07-10
[15]
백과사전
トンキン
2020-07-10
[16]
백과사전
鄭氏
2020-07-10
[17]
백과사전
チン氏
2020-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